반응형

사진이 너무 어둡거나? 너무 밝을때? 해결방법 카메라의 HDR모드
우리는 사진을 촬영하고 나면 생각외의 느낌이 나지 않는 경우가 종종있습니다.
특히 하늘을 배경으로 촬영을 할때, 사람이 과하게 어두워 까맣게 나오게 되거나
또는 하늘이 과하게 밝게 촬영되어 하얗게 촬영되는 사진을 볼 수 있습니다.
촬영하는 의도에 맞게 된 사진이라면 만족하시겠지만, 대다수의 사진은 눈으로 봤을 때 풍경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많이 아쉬워 하는 점 입니다.
이러한 사진은 배경과 피사체의 노출 차,
즉 빛의 상대적인 양 차이가 크기 때문에 나타나는 사진입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한장의 사진 내 노출차가 심해서, 정보가 과하게 사라지는 사진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바로 오늘 소개해 드릴 HDR입니다.
HDR이란?
우선 HDR은 High Dynamic Range의 약자입니다.
넓은 범위의 빛을 커버하는 사진입니다.
예를 들어 사람의 눈으로 풍경을 볼때, 바다와 하늘 그리고 산 모든 물체의 밝기는 비슷합니다.
하지만 사진을 촬영해 보면 사진의 노출차가 발생합니다.(밝기차이)
왜냐면 우리눈은 넓은 범위의 빛을 볼 수 있지만, 구조 상 카메라는 우리와 같은 범위의 빛을 볼 수 없게되어있습니다.
그렇게 때문에 실제의 눈과 비슷한 풍경을 나타내기 위해 HDR을 사용합니다.
다양한 노출로 동일한 장면을 여러번 촬영한 다음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한장의 사진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진은 노출차가 발생한 사진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필 라이트 (채워넣는 광, 보조광)을 사용할 수 없는 환경의 역광 피사체에도 활용합니다.
촬영하는 방법
'자동 브라케팅', '노출 브라케팅' 모드를 사용할 것 입니다.
만약 이러한 자동 기능이 없는 카메라의 경우 촬영을 못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안심하셔도 좋습니다.
수동으로 조리개 또는 셔터스피드를 조절하여 노출차를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HDR 이미지를 촬영하시기 위해선 RAW 파일로 촬영하면 조금 더 자연스러운 사진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JPG파일의 경우 이미지를 압축하여 한장의 사진으로 형성되어 있는 반면, RAW파일의 경우 메타데이터가 전체적으로 보존된 사진이기 때문에 후보정하실 때 유리합니다.
삼각대가 없어도 요즘은 프로그램상 자동정렬이 잘 되어있어서 같은 위치에서 촬영한 정도로 가능합니다.
그러나 프로그램 특성상 겹쳐진 이미지만을 오직 데이터를 겹쳐서 한장의 사진으로 만들어주기 때문에 사진을 효율적으로 촬영하기 위해선 필수입니다.
그리고 프로그램으로 한장의 사진으로 만들어 주는 것 이기 때문에, 섬세한 디테일을 살리기 위해서라도 일치한 정보가 많으면 우수한 퀄리티의 사진이 나옵니다.
따라서 삼각대를 구비할 여유가 있으시다면 추천드립니다.


카메라 / 핸드폰으로 HDR 촬영
1. 카메라로 HDR 촬영
동일한 장면을 여러번 노출 차이를 두고 이미지를 찍습니다. 브라케팅 모드가 있다면 사용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카메라 메뉴 - 브라케팅 )
노출 과다, 노출 부족, 노출이 0인 사진을 찍어주시면 됩니다. +2, +1, 0, -1, -2로 촬영한 이미지가 필요하며 최소 3개(-1,0,+1 또는 -2,0,+2)사진을 준비해주시면 HDR을 하실 수 있습니다.
브라케팅 모드가 없는 카메라여도, 각 촬영 사진의 노출을 수동으로 조절하여 사진촬영할 수 있습니다.
단 이때 조리개를 과도하게 변경하면 피사계 심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완성된 이미지가 정확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삼각대가 있다면 셔터스피드 조절이 자유롭기 때문에, 노출 조정 시 셔터스피드를 이용하길 권장드립니다.
2. 스마트폰에서 HDR 촬영
스마트폰에서는 HDR 사진은 정말 쉽습니다. 카메라 소프트웨어로 노출차를 인식하고 합성하여 한장의 HDR 이미지를 만들어줍니다.
기본 카메라에 HDR 옵션이 있는지, 사용하고 있는지만 확인해 주시면 됩니다. 노출차를 줄인 한장의 이미지로 혼합하여 촬영됩니다.

포토샵에서 HDR 합성
카메라로 촬영된 사진들을 섬세하게 HDR로 한장의 사진으로 포토샵을 통해 만들수 있습니다.
포토샵의 HDR 기능을 사용하면 노출 설정에 따라 다른 수의 사진이 필요합니다.
+2, +1, 0, -1, -2로 촬영한 이미지가 필요하며 브라케팅 (노출)간격이 좁을 수록 결과물이 디테일하게 나타납니다.
최소 2개(-1,+1 또는 -2,+2)사진을 준비해주시면 HDR을 하실 수 있습니다.
포토샵의 상단
파일> 자동화> HDR Pro로 자동화 > 병합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1.찾아보기를 통해 브라케팅 촬영된 사진을 선택해 줍니다.
2. 선택 후 확인을 클릭해 주시면 됩니다.
확인 후 새로 뜬 창에서 최종 이미지의 자세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포토샵에서는 브라케팅된 이미지만 준비해주시면 간단한 방법을 통해 HDR 이미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갖고계신 카메라를 100%가 아닌 200% 그 이상 활용하여 촬영하시는 방법 중 하나가 HDR입니다.
오늘 알려드린 이런 방법을 통해, 멋진 일몰과 일출 사진을 촬영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 두 눈에 담긴 그 이상을 사진으로 만들어보시면서 사진에 흠뻑 빠질 수 있길 바랍니다.
한번 천천히 하나하나 촬영해 보시는 것 어떠실까요?
여러분들의 멋진 사진 기대하겠습니다!
같이읽으면 좋은 정보도 밑에 첨부하였으니 천천히 읽어보세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2023.02.01 - [사진] - [사진의 기초] 조리개? 셔터스피드? 완벽한 촬영을 위한 기초상식, 수동모드 촬영으로 가는 지름길_돈이 되는 사진 2편
[사진의 기초] 조리개? 셔터스피드? 완벽한 촬영을 위한 기초상식, 수동모드 촬영으로 가는 지름
조리개 오늘 부터 조리개는 빛이 들어오는 입구의 크기로 생각하세요. 수치가 작으면 빛이 들어오는 입구가 크고 수치가 크면 빛이 들어오는 입구가 작다! 조리개가 갖는 대표적인 특징으로는
ihatebean.com
2023.02.08 - [사진] - [사진의 기초] 수동모드M 촬영을 못해도 성공적인 촬영? 모든 카메라 전기종 촬영모드 마스터 _ 돈이 되는 사진 9편
[사진의 기초] 수동모드M 촬영을 못해도 성공적인 촬영? 모든 카메라 전기종 촬영모드 마스터 _
여러분은 카메라를 구매하시고 전원을 켠 후 이것저것 만져보다가 결국은 P모드로 사진을 처음 촬영하지 않으셨나요? P모드는 자동촬영모드 또는 자동모드로 쓰여있어서, 사진작가인 저 또한
ihatebean.com
반응형
'사진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진 작가가 알려주는 카메라 초보자 분들이 꼭 알아야만 하는 필수 사항 확인 체크 사항! 필독 (0) | 2023.02.28 |
---|---|
[사진 잘 찍는 방법] 핸드폰으로 콘서트 무대 사진 촬영, 페스티벌 뮤지컬 무대 촬영하기! 촬영 앱 추천 (0) | 2023.02.15 |
[사진 잘 찍는 법] 감성 구름 사진 촬영을 위한 3가지 꿀팁, 예쁜 배경 화면 촬영하기 (0) | 2023.02.13 |
[사진 잘 찍는 법] 쉽고 빠르게 핸드폰으로 예쁘고 멋있는 셀카 촬영하는 7가지 방법, 셀카 꿀팁 프로필 사진 촬영 (0) | 2023.02.12 |
[사진 잘 찍는 법] 오토바이 사진 자동차 사진 자전거 찍는 법, 라이딩 잘 찍는 방법 (0) | 2023.02.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