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진 강의

[사진 잘 찍는 법] 감성 구름 사진 촬영을 위한 3가지 꿀팁, 예쁜 배경 화면 촬영하기

by 김콩배 2023. 2. 13.
반응형

 



요즘 핸드폰 카메라 기술도 좋아지고 취미로 DSLR이나 미러리스, 필름 카메라 촬영하시는 분들이 많아지면서
일상의 예쁜 순간들을 촬영하시려는 분들이 많습니다.
여러분들도 요즘 하루에 한 장 이상으로 사진을 찍고 계시지 않으신가요?

일상생활 사진을 촬영하시다 보면, 예쁜 하늘의 순간도 자연스럽게 담으려고 합니다.
하늘의 새파란 색감과 노을의 붉은 하늘, 때로는 분홍빛과 보랏빛이 물든 순간들을 잘 담고 계시는가요?
오늘은 우리가 카메라로 예쁜 하늘을 촬영할 수 있는 팁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알려드린 방법으로 내가 느낀 감정 그 이상이 담긴 아름다운 촬영을 하실 수 있길 바랍니다.
좀 더 역동적이고, 그림같이 몽글몽글 떠 있는 부드러운 구름이 잘 나타날 수 있는 촬영법입니다.​

어린 시절 과학 시간에 구름의 종류가 여러 가지라고 배운 걸 기억하시나요?
하지만, 카메라로 담기면 다 똑같은 구름이나 비슷해 보이는 모습으로 촬영됩니다.

오늘은 크게 3가지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구름사진

 


첫 번째, 날씨
많은 분이 노을 사진이나, 하늘 사진 촬영 시 일어나는 실수 중 하나가 맑은 날 출사를 한다는 것입니다.
물론 맑은 날 촬영을 하게 될 경우 빛의 양이 많아져 일반적인 풍경 사진과 인물사진을 찍을 때 좋은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하늘 사진을 찍을 때 알아두시면 좋은 점은, 맑은 날의 경우 구름의 양이 현저하게 일반적인 날보다 적습니다.
무엇보다 황홀하고 몽환적인 컬러의 노을 촬영을 원하시는 분들이 요즘 많이 계십니다.
보랏빛이나 핑크빛이 하늘에 물든 상태의 구름을 촬영을 원하시는 분들은 맑은 날에 나가실 경우 주황빛의 노을 사진만 얻으실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어느 정도 구름이 있는 날 노을의 색이 주황색이 아닌 독특한 색으로 나타납니다.
그리고 비가 오기 전, 비가 온 후에는 훨씬 구름의 양이 많기 때문에 구름사진을 원할 경우 맑은 날보다는 일반적인 날이 훨씬 괜찮을 것입니다.
맑지 않아서 사진 촬영이 실패한 것이 아니란 점을 꼭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구름사진

 


두 번째, 노출
물의 사진의 경우, 일부러 부드러운 느낌을 연출하기 위해 셔터를 길게 해서 역동적인 작은 디테일을 부드럽게 뭉개기도 합니다.
하지만 구름의 경우 추천해 드리지 않습니다. 구름의 경우 셔터스피드가 긴 장노출로 촬영할 경우 뭉게구름의 느낌이 현저하게 줄어듭니다.
대다수의 구름 사진을 좋아하시고 찍고 싶어 하시는 분들은 뭉게구름 같은 형태를 좋아하기 때문에, 셔터스피드가 빠르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그리고 맑은 날 하늘을 찍었을 때, 하늘이 파란색이 아니라 조금 밝은 하늘색의 형태를 띠고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 일출이나 일몰 사진을 촬영할 때, 붉은빛이 강렬한 실제와는 달리 화면상으로는 주황색, 노란색 때로는 흰색이 강렬하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럴 경우, 인물이 중요한 것이 아닌 하늘의 풍경을 제대로 담는 것이 목적이라면 우리가 평소에 촬영하는 사진보다 조금 더 어둡게 찍어야 합니다.

DSLR, 미러리스를 사용하는 분이시라면, 카메라의 노출 설정을 마이너스에 두고 카메라 세팅 값을 맞춘 촬영을 하시면 조금 더 정확한 색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렇게 촬영할 경우 과노출되어 데이터가 날아가는 경우도 적기 때문에, 후보정하실 예정이라면 더욱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핸드폰으로 촬영하는 분이라면, 간단하게 사진 밝기를 화면을 터치하여 조정할 수 있습니다.
1. 카메라를 켜둔 상태로 화면상의 하늘을 터치해줍니다.
2. 터치 후 손가락을 떼지 않고 아래로 쓸어내리면 사진의 밝기가 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3. 밝기 조절이 된 상태에서는 다시 하늘을 터치하지 않고, 카메라 셔터를 눌러주시면 밝기 조절된 사진을 촬영하실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구름을 촬영하실 때, 평소 세팅보다 약간 어두워야 결과물이 좋은 점 숙지하시길 바랍니다.

 


 

구름사진



세 번째, 필터

필터의 경우 핸드폰 카메라에서는 사용이 불가합니다.
DSLR, 미러리스, 필름 카메라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풍경 사진을 사랑한다면 구매 후 사용하시길 추천해 드립니다.
대표적으로 두 가지 필터를 추천합니다.

1. 편광 필터
편광 필터를 사용하면 구름이 하늘과 분리된 입체적인 사진이 나타납니다. 하늘이 구름만큼 밝은 것이 아니라 구름보다 살짝 어둡게 촬영할 수 있습니다.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렌즈 앞에 편광 필터를 부착한 다음 뷰파인더에 원하는 화상이 보일 때까지 필터를 천천히 돌리기만 하면 됩니다.
편광 필터는 특정 광파가 렌즈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는 원리를 갖고 있습니다.
구름이 하늘에 있을 때 필터 없이는 흰색의 솜사탕 형태로 나타났다면, 필터를 착용하고 촬영하게 되시면 뭉게구름의 형태가 나타나게끔 할 수 있습니다.
편광 필터를 구비하시지 않으셨다면, 풍경 사진 뿐만 아닌 여러 사진 촬영에 다각도로 활용 가능하기 때문에 추천해 드립니다.​

2. GND 필터 
일몰과 일출에 하늘 풍경을 촬영할 때 장면의 노출 범위 차가 몹시 큰 관계로 카메라로 예쁘게 촬영하기 어렵습니다.
하늘에 노출을 맞춰서 촬영을 하게 하면, 하늘 이외 풍경의 노출이 부족할 위험이 있습니다.
반대로 사람이나, 하늘 이외의 풍경에 노출을 맞추면 하늘이 과노출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요즘 핸드폰이나 카메라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처리하기 위해 HDR 기술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프로그램이 아닌 광학적 효과를 위해 GND 필터를 사용합니다.
자동 HDR은 자연스럽게 보이기 어렵고, 기종에 따라 결과물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다음에 따로 한 번 더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GND 필터를 사용하면 필터가 노출 간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며 촬영 후 포토샵을 하게 된다면 나머지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노출 차이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두 가지 필터는 카메라 촬영 중 가장 기본적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기 때문에, 아직 없으시다면 구비하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오늘은 이와 같이 세 가지를 통해 구름 사진 멋지게 촬영하는 법을 소개했습니다.
1. 날씨
2. 노출
3. 필터
딱 세 가지만 주의 깊게 신경 써주신다면 누구나 멋진 사진을 쉽게 촬영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부터 바로 멋진 구름 사진 찍어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오늘 주제와 관련하여 도움이 될만한 포스팅 소개해 드립니다.
즐거운 사진 생활 갖길 바라며 글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2023.02.04 - [사진] - [사진의 기초] 내 사진의 색감을 위해 기본적인 필수 세팅 색온도? 화이트밸런스?_돈이 되는 사진 5편

 

[사진의 기초] 내 사진의 색감을 위해 기본적인 필수 세팅 색온도? 화이트밸런스?_돈이 되는 사진

디지털 카메라를 예전에 사신 적이 있으시거나, 편집 프로그램을 열어보신 분들 중 화이트밸런스 라는 것을 보신 분이 계실수도 있습니다. 우리가 같은 공간에서 촬영을 할 때 경우에 따라 사진

ihatebean.com


2023.02.07 - [사진] - [사진의 기초] 사진을 시작하는 사람들을 위한 3가지 렌즈 필터 추천 _ 돈이 되는 사진 8편

 

[사진의 기초] 사진을 시작하는 사람들을 위한 3가지 렌즈 필터 추천 _ 돈이 되는 사진 8편

제 오프라인 강의를 듣는 대다수의 사람은 필터 없이 첫 수업 오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새로운 카메라는 필수적으로 구매하셔야 하는 필터가 있습니다. 그리고 중고 카메라를 구매하실 때 꼭 확

ihatebean.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