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카메라3

[사진의 기초] 흔들린 사진? 초점이 안 맞는 사진? 실패한 사진 구분법, 피사계심도_ 돈이 되는 사진 10편 피사계 심도 우리가 사진을 찍을 때 흐릿한 부분과 선명한 부분이 같이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사진을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께서 많이 헷갈리시는 부분 중 하나가 초점이 나간 건지, 셔터스피드가 느려서 흔들린 것이 구분하는 것입니다. 분명히 잘 찍은 것 같은데 흐릿한 사진이 촬영된 경우도 나타납니다. 오늘 포스팅을 통해 피사계 심도, 흔히 심도라고 불리는 것을 완벽하게 이해하셔서 사진 고수에 한 걸음 다가갈 수 있습니다. 사진의 피사계 심도는 장면의 초점이 얼마나 많이 맞는지를 나타냅니다. 이론적으로 피사계 심도라는 명칭은 초점이 맞은 가장 가까운 물체와 초점이 맞은 가장 먼 초점 지점 사이의 거리입니다. 초점이 맞지 않은 피사체는 피사계 심도에 포함이 되지 않습니다. 우리가 풍경 사진을 찍거나 여행.. 2023. 2. 9.
[사진의 기초] ISO, 우리는 노출을 알아야만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돈이 되는 사진 3편 ISO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카메라 필름이 얼마나 빛에 반응을 잘하는지 나타낸 수치입니다. 기구의 이름을 따 그래도 ISO라고 부릅니다. 적은 양에도 빛이 얼마나 잘 적응하는가에 따라서도 촬영된 사진의 밝기가 다릅니다. 광 감도 (빛에 잘 반응하는 정도)는 필름 카메라를 주로 사용하던 때, 일회용 필름 카메라의 표면이나, 필름 통에서 주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숫자가 높으면 예전에, 흐린 날이나 실내에서도 잘 나왔습니다. 현재는 디지털카메라와 핸드폰을 사용하면서 센서로 대체 되었지만, 똑같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ISO 수치가 높으면 빛에 반응을 빠르게 합니다. 동일한 밝기의 공간 내, ISO.. 2023. 2. 2.
[사진의 기초] 카메라 기종의 중요성? 초점거리와 화각, 알고 찍으면 더 잘찍을 수 있는 상식_돈이 되는 사진 1편 사진의 경우 핸드폰 / DSLR / 미러리스의 경우 활용하시는 장비에 따라서 사진 결과물의 퀄리티는 다를 수 있습니다. 촬영할 때, 꼭 카메라의 구매 여부에 대해 많은 질문을 받습니다. 카메라의 경우 있으면 좀 더 내가 찍고 싶은 사진, 즉 상상한 사진에 가깝게 찍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분께 말씀드리는 점은 내가 찍으려는 사진이 어떤 것인지 정확하게 아셔야 카메라가 값어치를 한다는 것입니다. 기종별 카메라가 가진 센서의 특징을 알고, 내가 촬영하려는 사진이 어떤 사진인지 명확하게 알고 계신다면 핸드폰으로 찍을지, DSLR이나 미러리스를 사용해야 하는지, 렌즈는 어떤 렌즈를 해야 그런 사진을 찍을 수 있는지가 명확하게 구별이 됩니다. 따라서 블로그를 통해 카메라의 특성에 대해 자세히 읽어보신.. 2023. 1.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