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진 강의

[사진의 기초] 조리개? 셔터스피드? 완벽한 촬영을 위한 기초상식, 수동모드 촬영으로 가는 지름길_돈이 되는 사진 2편

by 김콩배 2023. 2. 1.
반응형

 


조리개

오늘 부터 조리개는 빛이 들어오는 입구의 크기로 생각하세요.

수치가 작으면 빛이 들어오는 입구가 크고

수치가 크면 빛이 들어오는 입구가 작다!

 

조리개가 갖는 대표적인 특징으로는
조리개 숫자가 작으면 배경이 흐려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러한 것을 우리는 아웃포커싱이라고 합니다.
숫자가 크면 배경과 물체까지 둘 다 선명하며 이를 팬포커스라고 합니다.

배경이 흐려지면, 불필요한 부분이 안 보이게 되면서 제품에 대한 집중을 조금 더 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뷰파인더에서는 느끼지 못한 채 촬영하면! 아웃포커싱을 했을 때 쏠리는 장점이 있으나 배경에 대한 정보가 전부 사라지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많은 분이 현장 강의에서 질문 주실 때, 무조건 아웃포커싱으로 찍으면 되지 않는지! 에 관해 질문 주십니다.
대답은? X입니다. 평소에 못 보던 사진이라 예뻐 보이는 것은 맞지만 사진의 정답은 아웃포커싱이 아니란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일단 아웃포커싱을 핸드폰에서 적용하려면
조리개도 중요하지만, 프로모드에서도 조리개를 조절하는 기능이 없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아웃포커싱은 앞서 말씀드린 방법으로 조리개를 열어서 초점이 맞지 않는 부분을 흐리게 하는 부분도 있지만 촬영하는 거리를 통해서 만드는 방법이 있습니다.


Q1
물체를 하나 앞에 둔 다음, 카메라의 위치를 한번 아래와 같이 찍어볼까요?
배경이 흐려지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글씨가 있는 종이를 배경으로 두었습니다.
물체와 배경의 위치는 동일하고, 아무런 세팅을 조작하지 않은 채로 카메라의 위치만 변경해볼까요?
즉! 촬영하는 ‘나’의 위치만 변화를 해보세요.



Q2
그다음 조리개를 통해서 정말 변경하는지 확인해볼까요?
물체와 배경의 위치를 고정하고 카메라의 위치도 이번엔 고정할 것입니다.
촬영하는 ‘나’의 위치는 이동하지 않는 것이지요 :)

 

 


조리개의 숫자를 최소부터 최대까지 천천히 변화시켜보면서 촬영해봅니다.
이때 핸드폰의 경우 터치를 통해서 내가 촬영하고자 하는 제품에 초점을 맞출 수 있습니다.
초점을 맞춘 제품만 선명한 경우는, 조리개의 값이 작아야 하며,
뒤의 배경 또한 선명해야 하는 경우는 조리개의 값이 커야 합니다.
조리갯값이 작을 때, 빛이 들어오는 입구가 크다는 것을 앞서 말씀드렸으나
또 다른 한 가지 특징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는 물체가 뚜렷하게 상을 맺게 해준다는 것은, 상이 맺지 않는 경우도 카메라의 뷰파인더
또는 핸드폰의 화면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조리개가 (수치는 작게) 클수록 피사체 외의 상이 맺지 않으며, 흐려집니다.
우리 주변에서 보는 빛들 또한 같은 특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빛의 형태가 크고 둥근 형태를 우리는 보케라고 합니다.
이와 같은 부분을 잘 활용하시면, 뒤에 반짝이는 빛을 두고 촬영할 때 좀 더 반짝이는 듯한 느낌을 연출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뿐만 아니라 조리개는 빛이 들어오는 입구의 크기라고 말씀드렸듯이
물이 나오는 수도꼭지로 생각하면 이해하시기 쉽습니다.
조리개 입구가 크다면 빛이 나오는 입구가 커서 짧은 시간 안에 빛이 많이 들어와서 사진이 밝으며
반대로 입구가 작다면, 같은 시간 동안 빛이 조금 들어와서 사진이 어두운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수동모드에서 촬영한 사진이 너무 밝게 나왔다면 조리갯값이 너무 작지 않은지(입구가 크지 않은지) 확인!
반대로 너무 어둡게 나왔다면 조리갯값이 너무 크지 않은지(입구가 작지 않은지) 확인!




셔터스피드

카메라의 셔터스피드는 사진의 흔들림을 결정합니다.

종종 사진을 촬영 한 후 선명하지 못한 경우 대표적으로 셔터스피드의 경우가 큽니다.

바람이 불거나, 손이 떨리거나, 움직이는 제품 등 다양한 이유로 사진이 흔들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셔터스피드의 경우 빠르게 조절을 한다면 움직이는 물체도 흔들리지 않게 찍을 수 있습니다.

평균적으로 흔들리지 않을려면, 보편적으로 셔터스피드는 ‘1/125’ 이상으로 두면 좋습니다.

그 이하로 느려진다면 흔들릴 확률이 높습니다.

 

 

사진촬영의 경우 매번 사진을 큰화면으로 확대하여 흔들린지 확인하는 불필요한 부분은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 일의 효율을 높이기 좋습니다.

따라서 사진이 너무 느리게 찍히지 않게 주의하셔야 합니다.

하지만 셔터스피드가 길다고 사진이 모두 흔들리는 것은 아닙니다.

카메라가 흔들리지 않는 충분한 조건을 갖고, 물체 또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어 있다면, 셔터스피드가 길어져도 사진이 흔들리지 않습니다.

 

카메라는 상이 맺히면 지워지지 않는다라고 생각해주시면 촬영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만약 움직이는 공을 찍는다면, 카메라가 고정되어 있더라도 공이 셔터가 열려 있는동안 닫히기 전까지 움직이기 때문에 흔들렸다고 느끼는 것 입니다.

따라서 셔터가 닫힐 때 까지 물체가 가만히 있다면 흔들리지 않는 사진을 얻게 되는 것 입니다.

안정적인 촬영을 위해서 삼각대를 구비하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만약 흔들리는 사진이 핸드폰이나 카메라에서 종종 보이신다면 더더욱 추천드립니다.

 

뿐만 아니라 셔터스피드는 사진의 밝기와도 관련되어 있습니다.

동일한 조리개 (빛이 들어오는 입구)에서 셔터스피드,어느시간동안 빛이 들어오게 할것인지에 따라서 사진의 밝기가 달라집니다.

셔터스피드가 빠르다면 빛이 들어오는 시간이 짧으므로 사진 밝기가 어두운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와 반대로 셔터스피드가 느리다면 빛이 들어오는 시간이 길어 사진이 밝게 나온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수동모드에서 촬영한 사진이 너무 밝게 나왔다면 셔터스피드 값이 너무 크지 않은지(느리지 않은지) 확인!

반대로 너무 어둡게 나왔다면 셔터스피드 값이 너무 작지 않은지(빠르지 않은지)확인!

 

오늘 말한 이 두가지 잘 지켜주신다면?

완벽한 수동모드 촬영까지 한걸음 더 가까이 가신 것 입니다!카메라의 셔터스피드는 사진의 흔들림을 결정합니다.
종종 사진을 촬영한 후 선명하지 못한 경우 대표적으로 셔터스피드의 경우가 큽니다.
바람이 불거나, 손이 떨리거나, 움직이는 제품 등 다양한 이유로 사진이 흔들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셔터스피드의 경우 빠르게 조절한다면 움직이는 물체도 흔들리지 않게 찍을 수 있습니다.
평균적으로 흔들리지 않으려면, 보편적으로 셔터스피드는 ‘1/125’ 이상으로 두면 좋습니다.
그 이하로 느려진다면 흔들릴 확률이 높습니다.

사진 촬영의 경우 매번 사진을 큰 화면으로 확대하여 흔들린 지 확인하는 불필요한 부분은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 일의 효율을 높이기 좋습니다.
따라서 사진이 너무 느리게 찍히지 않게 주의하셔야 합니다.
하지만 셔터스피드가 길다고 사진이 모두 흔들리는 것은 아닙니다.
카메라가 흔들리지 않는 충분한 조건을 갖고, 물체 또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어 있다면, 셔터스피드가 길어져도 사진이 흔들리지 않습니다.

카메라는 상이 맺히면 지워지지 않는다고 생각해주시면 촬영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만약 움직이는 공을 찍는다면, 카메라가 고정되어 있더라도 공이 셔터가 열려 있는 동안 닫히기 전까지 움직이기 때문에 흔들렸다고 느끼는 것입니다.
따라서 셔터가 닫힐 때까지 물체가 가만히 있다면 흔들리지 않는 사진을 얻게 되는 것입니다.
안정적인 촬영을 위해서 삼각대를 구비하시는 것도 추천해 드립니다.
만약 흔들리는 사진이 핸드폰이나 카메라에서 종종 보이신다면 더더욱 추천해 드립니다.


그뿐만 아니라 셔터스피드는 사진의 밝기와도 관련되어 있습니다.
동일한 조리개 (빛이 들어오는 입구)에서 셔터스피드, 즉 어느 시간 동안 빛이 들어오게 할 것인지에 따라서 사진의 밝기가 달라집니다.
셔터스피드가 빠르다면 빛이 들어오는 시간이 짧으므로 사진 밝기가 어두운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와 반대로 셔터스피드가 느리다면 빛이 들어오는 시간이 길어 사진이 밝게 나온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수동모드에서 촬영한 사진이 너무 밝게 나왔다면 셔터스피드 값이 너무 크지 않은지(느리지 않은지) 확인!
반대로 너무 어둡게 나왔다면 셔터스피드 값이 너무 작지 않은지(빠르지 않은지) 확인!

오늘 말한 이 두 가지 잘 지켜주신다면?
완벽한 수동모드 촬영까지 한 걸음 더 가까이 가신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